- 프로세스 모델링
- 시스템과 환경간 또는 시스템 내부 구성간의 데이터의 포착, 조작, 저장 및 분배를 하는 프로세스 또는 행동을 그래픽으로 표현한다.
- 데이터 흐름도(Data-Flow-Diagram)
- 외부의 객체들 간의 데이터의 이동과 시스템 내부의 프로세스와 데이터저장소를 묘사하는 그래픽이다.
- 입력과 출력, 사람과 기술이 명확
- 현재 시스템과 개발하는 시스템의 연동성, 대체 가능성을 나타냄
- 데이터의 흐름, 구조, 새로운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보여줌
- 비용 절감(기간 단축, 오류 수정, 위험 관리…...모든 작업은 비용!)
- 산출물(derivative)
- 응집성 / 상호 관련성
- 구성요소
- 상황도(context diagram)
- 시스템 경계,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외부 개체, 개체와 시스템 간의 주요한 정보흐름 등을 보여줌으로써 조직에서의 시스템의 범위를 표현한 데이터 흐름도
- 수준-0 다이어그램(level-0 diagram)
- 시스템의 주요 프로세스, 데이터흐름, 데이터 저장소 등을 상위 수준으로 표현한 데이터 흐름도
- 수준-n 다이어그램(level-n diagram) : 수준-0 다이어그램에서 n번의 분할 결과 생성된 데이터 흐름도
각 DFD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묘사 |
새로운 논리적인 시스템의 DFD |
현재 물리적인 시스템의 DFD |
상황도 |
- DFD 작성 원리
- 명칭
- 데이터흐름(data flow) : 시스템 안의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의 이동과 움직임의 단위로서의 데이터.
- 고객 주문 양식, 급여 명세서 상의 데이터
-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질의의 결과
- 출력된 리포트의 내용
- 데이터 입력
- 컴퓨터 디스플레이 양식에서의 데이터
- 데이터저장소(data store) : 데이터가 담겨 있는 곳
- 고객
- 학생
- 고객 주문
- 공급자 송장
- 프로세스(process) : 데이터의 변형, 저장, 분배되기 위해 수행되는 작업 또는 행위
- 컴퓨터에 의한 작업
- 수작업
- 소스(source)/싱크(sink) : 데이터의 출처와 목적지 = 외부 개체(external entities), 항상 외부에 있으며 시스템의 경계를 정의한다.
- 분석하고 있는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정보를 수신하는 다른 조직 또는 조직 단위
- 분석하고 있는 시스템에 의해 지원을 받는 사업부서 및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내,외부의 사람
- 분석하고 있는 시스템과 정보를 교환하는 다른 정보 시스템
- 정의와 기호
-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은 소스/싱크에 사용되고 명칭은 고객, 출납계원, EPA 사무실, 재고 통제 시스템과 같은 외부의 에이전트를 나타낸다.
-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은 프로세스를 나타내며 프로세스를 식별해주는 숫자와 명칭을 적는다.
- 오른쪽 수직선이 없는 직사각형은 데이터저장소를 나타낸다.
* c/d항목 구분이 중요
'시스템 분석 및 설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장] 시스템 개발 환경 (0) | 2015.09.13 |
---|